728x90
[ 3차시 21-01-05 화요일 ]
[필기- 소프트웨어설계] 요구사항 확인 B
- 요구사항 확인
- 요구사항 확인
- 분석모델에 대해 확인하고 현행 시스템에 대해 분석
- 요구사항을 보고 SW개발을 한다.
- 요구사항은 모두 문서화를 할것이고
- 요구사항을 분석하기위한 모델이 있을것이고
- 요구사항 분석 모델을 확인하고 현행 시스템을 분석한다.
- 현행 시스템 분석
- 지식
- 산업분야
- 플랫폼
- 프로젝트 환경
- 플랫폼 기능 , 플랫폼 성능
- 가상화
- 클라우드
- 기술
- 환경분석 //내부 외부 환경분석
- 운영체제 // 구성과 관리하는법
- 저장장치 // 구성과 관리하는법
- 네트워크 // 관리하는법
- DBMS // 기술
- 가상화 // 기술
- // 현행시스템분석이 필요한 이유
- 개발하고자하는 SW가 현재 시스템에 잘 동작하기 위해서는
-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
- 현행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지 알기위해 현행시스템분석필요
- 개발하고자하는 운영체제에 대한 분석도 필요
- DBMS(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)에대한 이해도 필요
- 플랫폼
- 플랫폼의 개념 //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위한 "환경"
-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는데 쓰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말한다.
- 플랫폼의 기능
-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 비용을 감소한다.
- // 동일한 플랫폼을 가지면 커뮤니티 생성가능
- // 커뮤니티가 생성되면 네트워크가 구성될 수 있다.
- 플랫폼의 기능 특성 확인방법
- 기능 테스트 //플랫폼을 평가하는 기능테스트
- 사용자 인터뷰 // 직접물어본다 이렇게 했을때 이런문제는 없었나요?
- 문서점검 //현재 플랫폼과 유사한 플랫폼에대한 자료를 분석
- 현행 시스템 분석하기에서 플랫폼의 성능 특성을 알아야하는 이유
-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속도가 느린지 빠른지 파악 //현재시스템을 분석해야
- //사용자가 느린게 느낄지 빠르게 느낄지 알 수 있다.
- 현재 시스템의 플랫폼 성능
- //사용자의 요구사항중에 성능에 대한 요구가 있을텐데
- //플랫폼이 느리기때문에 소프트웨어가 느리게 작동할수도있다.
- //그렇기때문에 플랫폼에따른 성능차를 알기위해 플랫폼의 특성과 성능을 알아야한다.
- 플랫폼 성능 특성 확인 방법
- 성능 테스트 //성능과 부하에 대한 테스트, 어느정도까지 한계일까?
- 문서 점검 // 유사한 플랫폼을 분석하고 점검하는것
- 사용자 인터뷰 //현재 시스템 사용자와 인터뷰를 통해서 성능확인
- 문제 : 다음중 플랫폼이 제공하는 기술적 관리적 기능으로 옮지 않은 것은?
-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 비용의 감소 ( 0 )
- 모든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향상 ( x ) //플랫폼에 따라 소프트웨어가 느려질수도있다.
- 동일한 플랫폼간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네트워크 효과를 유발 ( 0 )
- 소프트웨어 개발의 생산성을 향상 ( 0 )
- 현행 시스템파악
- 현행 시스템 파악 절차
- 1단계 : 시스템 구성, 기능, 인터페이스 파악
- // 구성 : 시스템의 구성파악은 조직에서 주요업무를 담당하는 기간업무, 지원업무등을 구분해서 기술하는것이다. 조직내에 정보시스템의 현황을 파악하고 각 업무에 속하는 정보시스템에 대한 명칭등을 기술
- // 기능을 파악한다 : 주요기능, 하부기능, 세부기능등 어떤기능이 있는지 기술하는것
- // 인터페이스 : 소통이다 .ex) 본체와 프린터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약속된 규격
- 어떤형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것인지 말하는것
- 프로토콜: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약속된형식
- 2단계 : 아키텍처 구성, 소프트웨어 구성 파악
- // 아키텍처 : 어떤 기술적 요소가 사용되는지 계층적으로 표현하는것
- //소프트웨어 구성 : 사용하고 있는 SW에대한 제품명 , 어떤 용도, 라이선스 적용방식등을 기술한다. 비용, 비중등을 파악 꼭필요한이유등을 위해서 구성
- 3단계: 하드웨어 구성, 네트워크 구성 파악
- // 하드웨어 구성 : 대표적으로 서버가 있다. 서버 사양과 비용 기술
- //갑자기 서버 장애가 발생시 어떻게 할지 등등
- //네트워크 구성 : 서버에 대한 위치와 서버와 연동된 네트워크 구성을 기술하는것
- // 네트워크 장애가 생겼을 때 네트워크 구성을 참고해서 복구및 해결
- //네트워크는 방화벽을 거쳐서 인터넷을 거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이런식으로 흐름을 기술한다.
- 운영체제 분석
- 운영체제( OS : Operating System) 의 개념 // 운영체제는 윈도우나 리눅스 도스 같은 걸이야기한다
-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자원을 관리
- 현재 시스템의 운영체제를 분석한다.
- 현재 운영 체제
// 현재 운영체제 종류가 무엇인지, 버전은어떻게 되는지 분석
- 운영체제의 종류 및 특징
- 유닉스, 리눅스,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, 아이오에스(IOS ) , 안드로이드 (AOS)
// 유닉스 : 대용량처리를 위해서 안정성이 요구될때 사용된다 무겁다.
// 리눅스 : 유닉스에서 파생된걸로 중대형 오에스 무료다
// 윈도우즈 : 보통 이걸 젤 많이 쓴다.
// 아이오에스 : 애플에서 나온 오에스
// 안드로이드 : 구글에서 나온 오에스
- 네트워크 분석 //네트워크 : 연결되어있는것을 말한다. 거미줄처럼
- 네트워크의 개념
- 디지털 전기통신망
-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신망으로 연결//연결된 컴퓨터끼리 데이터 교환가능
- OSI(Open System Interconnection) 7 Layer 의 정의 // ISO 라는 기관에서 네트워크 구성시에 표준을 제정한것
- 물리, 데이터 링크, 네트워크, 전송, 세션, 표현, 응용 계층
- // 물리 : LAN 구축 (LAN : 소규모의 컴터를 연결한 네트워크)
- // 데이터 링크 : 연결된 컴퓨터(인접노드)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것
- // 네트워크 : 내부에 컴퓨터가 연결이 되면 이제 외부로 나가야하기에 네트워크계층에서 외부로 나가게 된다. 여기서 라우터라는 개념이 나온다 어디로 가면 빨갈수있는지 최단경로설정 개념이 나온다.
- //전송 : 종단간에 신뢰성 있는 전송이 된다.
- // 세션 : 논리적인 연결이 잘된건지 확인하는과정이다.
- // 표현 : 암호화하는 계층 코드 변환하는 부분
- // 응용 : 이메일을 보내는둥의 서비스를 하는 계층이다.
-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분석한다.
-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, 사내 인터넷 데이터 센터 분석
- // 사내 인터넷 데이터 센터를 IDC 라고 한다.
- // 백콤마? 스위치 라우터 방화벽등의 개념등장
-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작성한다.
- 서버의 위치, 서버간의 네트워크 연결 방식
- // 전체 네트워크에서 서버의 위치는 어디인지 구성도를 작성한다.
- 데이터 베이스 분석
- 데이터 베이스의 개념
- 데이터베이스 생성, 조회, 변경등의 관리
- //데이터베이스 : 데이터를 다 모아놓은곳 , 만약 주민등록등본을 주민센터에서 뗀다면 한국인전체의 주민등록 데이터 베이스에서 내걸 뽑아서 프린트해주는것
- 데이터 베이스의 기능
- 중복성 통제, 데이터 공유, 데이터 접근 통제, 인터페이스 제공
- //중복성 : 데이터가 여러개가되지않게한다.
- // 데이터 공유 : 내정보를 여러곳에서 가져올수 있다. 인사팀 개발팀등등
- //데이터 접근통제 : 아무나 접근못하게 한다 ex 팀장만 접근가능하게 등등
- // 인터페이스 제공 : 어떻게 접근하는지 방법을 제공한다.
- 관련성 표현, 무결성 보장
- // 관련성 : 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복잡한 관계를 그려서 표현한다.
- // 무결성: 정확하고 유일한 정보를 보장한다.
- 현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분석한다.
- // DBMS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 무엇인지 체크
- // 엑세스 SQL, MSSQL , 등등
- // 테이블의 수는 어느정도인지 데이터는 얼마나 증가했는지 백업방식은 뭘로 정한건지 등등을 분석한다.
- 논리/물리 테이블의 구조 파악
- 정규화 정도, 조인의 난이도 파악
- // 정규화 정도 : 테이블을 용도에 맞게 쪼게놓는것
- // 조인 : 쪼게진걸 합쳐서 가져오는것
- 비즈니스 융합분석
- 비즈니스 융합의 개념
- 비즈니스(Business) : 영리를 목적으로 행하는 모든 활동
- 비즈니스 모델 : 요소들의 구성체
- // 조직의 목표, 전략, 프로세스에 대한 기술, 구조 등을 포함한다.
- 비즈니스 융합 : 비즈니스 모델의 적용범위 확대
- // 산업 , 시장 경계를 허물고 ICT 합하고 해서 새로운 전달방식을 도입하는, 확대하는 개념이다.
- 비즈니스 융합 유형
- 제품융합, 서비스 융합, 제품과 IT융합, 서비스와 IT융합, 제품의 서비스화 , 서비스의 제품화, 제품과 서비스 융합
- // 제품 융합 : 두가지 이상의 제품을 융합한것
- // 서비스 융합 : 두가지이상의 서비스를 하나로 모은것
- // 제품과 IT 융합 : 기존제품에 IT제품 , 자제소프트웨어를 추가한것
- // 서비스와 IT융합 : 기존 서비스에 IT 부품 자제 소프트웨어를 추가한것
- // 제품의 서비스화 : 기존 제품에 서비스를 추가해서 제공한다.
- // 서비스의 제품화 : 서비스를 제품화해서 장비 기기로 전환한것
- // 제품과 서비스 융합 :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시스템 ,솔루션
- 비즈니스 융합분석
- 고객 분석, 제품 및 서비스 분석, 사업구조 분석
- //고객 분석 : 사업자에게 수익을 제공하는 고객을 분석 식별하는것
- //제품 및 서비스 분석 : 그 회사가 제공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분석
- // 사업구조 분석 : 서비스 제공자 소비자 참여자간에 구조를 분석하는 개념이다.
728x90
'기타 공부 기록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필기- 소프트웨어설계] 요구사항확인 A (0) | 2021.01.04 |
---|---|
정보처리기사 인강보기 시작! (0) | 2021.01.04 |